- 입사 직후 EJS를 React로 CEO와 개발팀장을 설득 후 변경하여 이후 4개 프로젝트에 참가
- 레거시 프로젝트의 성능 문제 (LCP 30초, 리소스 1400개, 성능 측정 불가)를 이후 프로젝트에서 (LCP 1초 이하, 리소스 50개 이하) 등 성능을 90% 이상 개선.
- API 문서화에 관심 없던 팀에 문서화 주도 후 2개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기존 문제를 개선
- 프론트엔드로 입사, Express로 백엔드 개발도 병행하여 4개 프로젝트 진행.
010-3074-1709
[email protected]
**https://github.com/sangil94s**
React
- 기존 서비스 마이그레이션 금지 조건 하 도입, React-Hook-Form 등 을 사용해 4개 프로젝트 개발
Next.js
-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App Router를 사용 중, 회사의 프로젝트 NEW APEHEX에서 도입 시도
Express.js
- 프론트엔드 포지션으로 입사, 재직 간 4개의 프로젝트의 Express 백엔드 개발도 병행.
MySQL
- Express와 같이 SQL 쿼리를 사용하여 5개월 이상 사용 중인 백오피스의 API를 개발.
Typescript
- React 와 같이 도입, any 사용을 최대한 축소하여 협의된 타입만 데이터로 받는 목적으로 사용
Zustand
-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미 사용하던 회사에 도입, 프로젝트에서 로그인 상태 관리 등으로 사용
Prisma
-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사용 중, 회사의 프로젝트인 NEW APEHEX에서 도입을 시도
GCP (Google Cloud Platform)
- Compute Engine 인스턴스를 생성 후 nginx와 같이 사용하여 배포 진행.
킴스인더스트리
Frontend Developer | 대전광역시 | 2022.12 - 2025.03
수제 담배를 제작하는 기계를 제조하여 미국과 한국에 판매하는 기업
- 백오피스 목적의 컴팩트머신 프로젝트가 24년 9월 배포 후 25년 2월까지 속도 불만 0건 유지
- 레거시 프로젝트(APEHEX)에서 단점을 분석 후 신규 프로젝트(컴팩트머신)에 반영하여 레거시 프로젝트 대비 성능을 90% 이상 향상
- 부서가 문서화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해 API 변동 사항 등 문제를 뒤늦게 인지, 노션 API 문서를 생성 후 내부에 공유하여 2개 프로젝트에서 업무 지연이 되는 기존 사례를 개선 (🔗 링크 : API 문서의 필수 값 등 정보 확인 [이미지 존재])
- EJS를 요구하는 환경에서 React 전환 주도, 혼자 프론트엔드 개발하는 상황을 전달받고 EJS보단 내가 많이 써본 React로 전환 주장, CEO는 기존 서비스 마이그레이션 금지 조건 하 승인, 23년 이후 4개 프로젝트를 React로 진행 (🔗 링크 : 웹 개발 관심 없는 환경에서 도입기)
컴팩트머신 프로젝트 | Frontend Developer | 2024.01 - 2025.03
컴팩트머신은 한국 한정 담배 생산기계인 컴팩트머신에 대한 데이터 조회 목적의 내부 백오피스입니다.